NL-114, LUKE: Deep Contextualized Entity Representations with Entity-aware Self-attention (2020-EMNLP)
◼️ Comment
- 뭔가 논문의 핵심내용을 잘 설명 못하는 느낌이다. (좀 더 예제를 구체적으로 했으면 하는 바람..?)
- 아무튼 이해한 토대로 정리하자면, 논문의 핵심은 entity과 연관된 테스크에 적합한 새로운 pretrained LM을 제안하는 것이다.
- 즉 pretraining 단계에서, entity에 해당하는 embedding도 같이 학습하는 것이다.
- Pretraining
- 예시 문장) 나는 <경기도 판교: LOC>에 산다.
- 라는 문장으로 pretraining을 할 때, 이전의 pretraining에선
- "나는 경기도 <MASK>에 산다."로 단어를 랜덤 마스킹해서 <MASK>=판교 라고 학습하도록 한다.
- 여기서는 "나는 경기도 <MASK1>에 산다" + "<MASK2>"로 마스킹된 토큰 2개를 입력으로 한다.
- 여기서 <MASK1>=판교, <MASK2>="경기도 판교" 으로 예측하게끔 학습하는 것이다.
- 즉 <MASK2>가 "경기도 판교"가 되도록 학습하려면, "경기도 판교"가 하나의 엔티티라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. (그래야 입력으로 주니깐)
- 이것은 위키피디아의 하이퍼링크를 이용한다고 한다.
- 즉 위키피다에서 "경기도 판교"가 하이퍼링크로 걸려있다면, 이것은 하나의 엔티티로 간주한다는 것이다.
- 물론 하나의 엔티티라는 것은 알아도, 무슨 엔티티인지는 pretraining 코퍼스에서는 당연히 알 수가 없기 때문에, 학습시에 <MASK2>에 대응되는 label은 원래 토큰인 "경기도 판교"가 되는 것이다.
- 논문에서 설명은 없지만, 그림 1을 보면, Beyonce는 MASK 토큰으로 치환되지 않은 엔티티이므로, 그림의 pretraining step에선 학습에 사용되지 않는 것 같다.
- 즉 MASK로 치환된 토큰이 엔티티일때만, 엔티티쪽의 embedding이 학습되는 것일듯 (MLM처럼)
- 하이퍼링크가 없는 것들은, UNK 엔티티로 간주한다.
- 그 외에, 학습방향은 이전의 MLM와 크게 다르지 않고, 그림 1을 참고하면 된다.
- 임베딩으론 엔티티 임베딩 e을 사용하고 (하나의 벡터) 하나의 엔티티로 묶인 토큰들의 position 평균을 사용한다.
- 또한 token embedding matrix을 ALBERT와 같이 2개로 쪼갠 행렬을 이용한다.
- 위와 같은 pretraining을 하면 entitiy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학습할 수 있다는 것 같다.
- 따라서 tine-tuning할 때 성능이 올라간다고 한다.
- 추가적으로 attention score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Q 매트릭스는 4가지가 있다.
- 즉 토큰 vs 엔티티 어떤 타입의 인풋인지에 따라 이것이 결정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.
- 이렇게 구분을 안해놓으면, 그냥 단순히 BERT 처럼 학습하는 것과 다르지 않아서 타입을 인식하는 효과가 미미해서지 않을까 싶다.
- 모델의 구조는 RoBERTa-LARGE을 기반으로 한다고 한다.
- 따라서 이 모델의 성능이 BERT보다 유의미하게 좋은게 큰 의미라기보단, RoBERTa보다 얼마나 좋냐가 더 중요해보인다.
- 물론 RoBERTa보다 좋아지기는 하나, 큰 차이는 또 아닌 거 같아서..
- 이렇게 위키피디아의 하이퍼링크를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cost가 아깝지 않나? 뭐 이런생각도 든다.
0 Abstract
- Entity representations은 엔티티들을 포함하는 natural language tasks에서 유용하다.
- 이 논문에서, 우리는 새로운 단어들과 엔티티들의 pre-trained contextualized representations을 bidirectional transformer을 기반으로 제안한다.
- 제안된 모델은 주어진 텍스트에서 words와 entities을 독단적인 토큰들로 간주하고 그들의 contextualized representations을 출력한다.
- 우리의 모델은 BERT의 masekd langugae model을 기반으로한 새로운 pretraining task을 사용하여 학습된다.
- 테스크는 위키피디아에서 많은 entity-annotated 코퍼스안의 랜덤으로 maksed words와 entities을 예측하는 것을 포함한다.
- 우리는 또한 entity-aware self-attention 메커니즘을 제안하고, 이는 transformer의 self-attention 메커니즘의 확장이고 attention scores을 계산할 때, 토큰들의 타입을 (words or entities) 고려한다.
- 제안한 모델은 entity-related tasks의 여러 범위에서 실험적으로 놀라운 성능을 달성한다.
- 특히, 이는 잘 알려진 5개 데이터세트에 대해 SOTA들 달성한다.
- Open Entity (entity typing),
- TACRED (relation classification),
- CoNLL-2003 (named entity recognition),
- ReCoRD (cloze-style question answering), and
- SQuAD 1.1 (extractive question answering).
- Our source code and pretrained representations are available at https: //github.com/studio-ousia/luke.
1 Introduction
- 많은 NLP tasks는 entities을 포함한다.
- 즉, relation classification, entity typing, named entity recognition (NER), and question answering (QA).
- entity-related tasks와 같은 것을 푸는 핵심은 모델이 entities의 효과적인 representations을 배우는 것이다.
- 전통적인 entity representations는 각 entity를 고정된 embedding vector로 할당하여 knowledge base (KB)안의 엔티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.
- 이러한 모델들은 KB에서 풍부한 정보를 캡쳐함에도 불구하고, 그들은 텍스트안의 entities을 표현하려면 entity linking을 요구하고 KB에 존재하지 않는 entites을 표현할 수 없다.
- 대조적으로, Transformer을 기반으로한 contextualized word representations (CWRs)은 LM을 기반으로 unsupervised pretraining tasks로 효과적으로 일반적인 word representations을 제공한다. (BERT, RoBERTa와 같은)
- 많은 최근 연구들은 CWRs을 기반으로 계산된 entites의 contextualized representations을 사용하여 entity-related tasks을 해결하려고 한다.
- 그러나, CWRs의 구조는 다음의 2가지 이유로 entities을 표현하는데 적합하지 않다.
- (1) CWRs은 엔티티들의 span-level representations을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, 그들은 전형적으로 작은 downstream dataset을 기반으로 이러한 representations을 계산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.
- (2) 많은 entity-related tasks (relation classification and QA)은 entities 사이의 relationship에 대한 추론을 포함한다.
- transformer는 self-attention mechanism을 사용하여 단어를 여러 번 연관시켜 단어간의 복잡한 관계를 캡쳐할 수 있지만, 많은 엔티티가 모델에서 여러 토큰으로 분할되기 때문에 엔티티간에 이러한 추론을 수행하기가 어렵습니다.
- 게다가, CWRs의 word-based pretraining task 은 엔티티들의 representations을 배우는것에 적합하지 않다.
- 왜냐하면, 엔티티안의 주어진 다른 단어들가 masked word을 예측하는 것은 전체의 entity을 예측하는 것보다 쉽기 때문이다.
- 예) “The Lord of the [MASK]”에서 MASK을 Rings로 예측하는 것
- 이 논문에서, 우리는 단어들과 엔티티들의 새로운 pre-trained contextualized representations인 LUKE을 (Language Understanding with Knowledge-based Embeddings) 소개한다.
- Transformer을 기반으로한 LUKE은 위키피다에서 얻은 많은 entity-annotated 코퍼스을 사용하혀 학습된다.
- LUKE와 기존의 CWRs 사이의 중요한 다른점은 words만을 고려하지 않고, 독단적인 토큰들로써 entities 또한 고려하고, Transformer을 사용하여 모든 토큰들의 중간 및 출력을 계산한다. (그림1)
- tokens을 엔티티들로 고려하기 때문에, LUKE는 직접적으로 entities 사이의 관계들을 모델링한다.
- 새로운 pretraining task를 사용하여 학습된 LUKE는 BERT의 masked language model (MLM)의 간단한 확장이다.
- 이 테스크는 랜덤으로 엔티티들을 [MASK] 엔티티들로 바꿔서 랜덤으로 마스킹하는 것을 포함하며, 이러한 마스킹된 entities의 원본을 예측함으로써 모델을 학습한다.
- 우리는 RoBERTa을 기본 pre-trained model로 사용하고, 모델을 MLM와 우리의 제안된 테스크의 objective을 동시에 최적화함으로써 pretraining을 수행한다.
- 다운스트림 테스크들에 적용할 때, 결과 모델은 입력의 [MASK] 엔티티들을 사용한 텍스트안의 임의의 entities의 representations을 계산할 수 있다.
- 게다가, 만약 entitiy annotation이 테스크에서 가능하다면, 모델은 entitiy embeddings에 대응하는 풍부한 인코딩된 entitiy-centric 정보를 기반으로 entitiy representations을 계산할 수 있다.
- 이 논문의 다른 contribution key는 우리의 entity-aware self-attention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transformer을 확장한 것이다.
- 기존의 CWRs와 달리, 우리의 모델은 두 개의 토큰들의 타입을 다룬다.
- 즉, words와 entities
- 그래서, 우리는 메커니즘이 쉽게 토큰들의 타입들을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가정한다.
- 이를 위해 attending token과 attended token을 기반으로 다른 쿼리 메커니즘을 수용하여 self-attention 메커니즘을 강화합니다.
- 우리는 5가지 표준 엔티티 관련 작업에 대한 광범위한 실험을 수행하여 제안 된 모델의 효과를 검증합니다.
- entity typing, relation classification, NER, cloze-style QA, and extractive QA.
- Our model outperforms all baseline models, including RoBERTa, in all experiments, and obtains state-of-the-art results on five tasks:
- entity typing on the Open Entity dataset (Choi et al., 2018),
- relation classification on the TACRED dataset (Zhang et al., 2017),
- NER on the CoNLL-2003 dataset (Tjong Kim Sang and De Meulder, 2003),
- clozestyle QA on the ReCoRD dataset (Zhang et al., 2018a), and
- extractive QA on the SQuAD 1.1 dataset (Rajpurkar et al., 2016).
- We publicize our source code and pretrained representations at https://github.com/studio-ousia/luke.
- 메인 컨트리뷰션
- We propose LUKE, a new contextualized representations specifically designed to address entity related tasks. LUKE is trained to predict randomly masked words and entities using a large amount of entity-annotated corpus obtained from Wikipedia.
- We introduce an entity-aware self-attention mechanism, an effective extension of the original mechanism of transformer. The proposed mechanism considers the type of the tokens (words or entities) when computing attention scores.
- LUKE achieves strong empirical performance and obtains state-of-the-art results on five popular datasets: Open Entity, TACRED, CoNLL2003, ReCoRD, and SQuAD 1.1.
2 Related Work
3 LUKE
- Figure 1 shows the architecture of LUKE. The model adopts a multi-layer bidirectional transformer (Vaswani et al., 2017).
- 이것은 문서의 words와 entities을 입력 토큰으로 간주하고, 각 토큰의 representation을 계산한다.
- 수식적으로, m개의 단어들 w1, w2, ..., wm와 n개의 entities e1, e2, ..., en이 주어지면, 우리의 모델은 D차원의 word representations , ..., where 와 entity representations , , ..., where 을 계산한다.
- 엔티티들은 위키피디아 엔티티들 (즉, 그림 1의 Beyonce) 혹은 special 엔티티들 (즉, [MASK])가 될 수 있다.
- 엔티티가 입력토큰으로 주어진다는게, 이처럼 Beyonce 혹은 [MASK]에 엔티티란 표시를 해준다는 것이다.
- 그림1에 보면 e embedding이 추가적으로 들어가있는데, 이 부분이 entity type embedding이다.
- 또한 미리 살펴보면, token embedding이 원래 토큰 임베딩과 다른 것을 쓰는 것 같다.
- 추가적으로, (D5+D6)/2으로 position embedding이 표현되는데, 이는 Los Angeles가 하나의 엔티티이기 때문이다. (즉 이것으로 인해, 엔티티 단위의 pretraining을 할 수 있다는 것?)
3.1 Input Representation
- The input representation of a token (word or entity) is computed using the following three embeddings:
- Token embedding represents the corresponding token.
- 우리는 word token embedding 을 정의하고, 여기서 는 vocab의 수이다.
- 계산 효율성을 위해, 우리는 entity token embedding을 두 개의 작은 행렬로 분해하여 표현한다.
- 와 이고 는 여기서 vocab에서 entities의 개수다.
- entity token embedding의 full matrix은 BU로 구한다.
- Position embedding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token in a word sequence.
- 시퀀스의 i번째 position에 나타나는 word와 entitiy은 와 로 각각 표현된다.
- 만약 entity name아 여러 words을 가지고 있다면, position embedding은 해당하는 positinos의 embedding의 평균으로 계산된다. (그림 1 처럼)
- Entity type embedding represents that the token is an entity.
- word의 input representation은 token과 position embeddings의 합으로
- entity는 token, position, entitiy type embedding의 합으로 표현된다.
- 이전의 연구에 따라, 우리는 special tokens [CLS], [SEP]을 word 시퀀스안에 첫 번째와 마지막 words로 각각 넣어준다.
3.2 Entity-aware Self-attention
- self-attention mechanism은 transformer에서 발견되었고, 각 토큰 쌍 사이의 attention score을 기반으로 tokens은 서로 서로 연관된다.
- 입력 벡터 시퀀스 x1, x2, ..., xk where where xi ∈ R^D가 주어지면, 각 출력 벡터들은 y1, y2, ..., yk, where yi ∈ R^L이다.
- 이는 transformed input vectors의 weighted sum을 기반으로 계산된다.
- 여기서, 각 입력과 출력 벡터는 모델의 토큰과 (word or entity) 대응된다.
- 그래서 k=m+n
- The i-th output vector yi is computed as:
- LUKE는 토큰들의 2가지 타입을 (i.e., words and entities) 다룰 수 있기 때문에, 우리는 attentino scores (eij)을 계산할 때, target 토큰 타입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정한다.
- 이를 염두에두고, 우리는 entity-aware query 메커니즘을 소개함으로써 메커니즘을 강화하고, 이는 xi와 xj의 토큰 타입들의 가능한 쌍을 위해 다른 query matrix을 사용한다.
- Formally, the attention score eij is computed as follows:
3.3 Pretraining Task
- LUKE을 pretrain 하기 위해, 우리는 conventional MLM와 MLM의 확장으로 새로운 pretraining task을 사용해서 entity representations을 학습한다.
- 특별히, 우리는 위키피디아의 하이퍼링크들을 entity annotations으로 간주하고, 위키피디아로부터 검색된 large entity annotated corpus을 사용해서 모델을 학습한다.
- 우리는 랜덤으로, 엔티티들의 특정 퍼센트를 mask하여 special [MASK] entities로 교체하고나서 모델이 masked entites을 예측하도록 학습한다.
- 공식적으로, masked entity에 해당하는 기존의 entity은 우리의 vocab의 모든 엔티티들에 대해 softmax을 적용해서 예측된다.
- 여기서 he는 masked entity에 해당하는 representation이다.
- T ∈ R^{H×D}와 Wh ∈ R^{D×D}은 weight matrices이고
- bo ∈ R^{Ve} and bh ∈ R^{D}은 bias vectors이고
- gelu(·)은 gelu activation function이고
- layer norm(·)은 layer normalization function이다.
- 여기서 m은 D차원이 되고 y^는 Ve차원이 되는 식이다. 특이한?점은 layer_norm을 썼다는 것과 B을 다시한번 사용했다는 점 정도..?
- Our final loss function is the sum of MLM loss and cross-entropy loss on predicting the masked entities, where the latter is computed identically to the former
3.4 Modeling Detail (번역)
- 모델 구성은 RoBERTa-LARGE (Liu et al., 2020), 양방향 변압기 및 BERT 변형을 기반으로 사전 훈련 된 CWR (Devlin et al., 2019)을 따릅니다.
- 특히, 우리의 모델은 D = 1024 개의 숨겨진 차원, 24 개의 숨겨진 레이어, L = 64 개의주의 머리 차원 및 16 개의 자기주의 머리의 양방향 변환기를 기반으로합니다.
- 엔티티 토큰 임베딩의 차원 수는 H = 256으로 설정됩니다.
- 총 매개 변수 수는 약 483M이며 RoBERTa에서 355M, 엔티티 임베딩에서 128M으로 구성됩니다.
- 입력 텍스트는 Vw = 50K 단어로 구성된 어휘와 함께 RoBERTa의 토크 나이저를 사용하여 단어로 토큰 화됩니다.
- 계산 효율성을 위해 엔티티 어휘에는 모든 엔티티가 포함되지 않고 엔티티 주석에 가장 자주 나타나는 Ve = 500K 엔티티 만 포함됩니다.
- 엔티티 어휘에는 [MASK] 및 [UNK]라는 두 개의 특수 엔티티도 포함됩니다.
- 이 모델은 위키 백과 페이지에서 20 만 단계의 무작위 순서로 반복을 통해 학습됩니다.
- 학습 시간을 줄이기 위해 RoBERTa를 사용하여 LUKE가 RoBERTa (변환기의 매개 변수 및 단어 임베딩)와 공통적으로 갖는 매개 변수를 초기화합니다.
- 과거 작업 (Devlin et al., 2019; Liu et al., 2020)에 따라 모든 단어와 엔티티의 15 %를 무작위로 마스킹합니다.
- If an entity does not exist in the vocabulary, we replace it with the [UNK] entity.
- 즉, 모든 토큰들에 해당하는 엔티티 embedding이 있다는 것인데
- 하이퍼링크가 없는 엔티티들은 UNK이다.
- 위키피디아 데이터라고 해도 대부분 없지 않나..?
- 우리는 우리의 메커니즘에 대한 절제 연구를 원하지만 사전 훈련을 두 번 실행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엔티티 인식 자기주의 메커니즘이 아닌 원래의 자기주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사전 훈련을 수행합니다.
- 자체주의 메커니즘 (Qw2e, Qe2w 및 Qe2e)의 쿼리 매트릭스는 다운 스트림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학습됩니다.
- 사전 교육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부록 A에 설명되어 있습니다.
4 Experiments
4.1 Entity Typing
- 우리는 먼저 entity typing에 대해 실험한다.
- 이는 주어진 문장의 entity의 타입을 예측하는 테스크이다.
- 찾아보니, NER와 다른 점은 문장만 주어지는게 아니고 entity의 tokens도 같이 주는 것이다.
- 즉 BI의 바운더리는 같이 주어지는 개념?인 듯 (따라서 NER이 좀 더 어려운 것)
- Zhang et al. (2019)에서는 Open Entity 데이터 세트 (Choi et al., 2018)를 사용하고 9 개의 일반 엔티티 유형 만 고려합니다.
- Wang et al. (2020), 우리는 느슨한 미세 정밀도, 재현율 및 F1을보고하고 마이크로 -F1을 기본 메트릭으로 사용합니다.
- Model
- 우리는 target entity을 [MASK] entity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모델에 각 문장의 words와 sentence을 입력한다.
- 우리는 그러고, entity representation에 해당하는 것을 기반으로 선형 분류기를 사용하여 entity을 분류한다.
- 우리는 task을 muilti-label classification으로 간주하고, 모델을 모든 엔티티 타잎들에 대해 평균된 binary cross-entropy loss을 사용하여 학습한다.
- Baselines
- UFET (Choi et al., 2018) is a conventional model that computes context representations using the bidirectional LSTM. We also use BERT, RoBERTa, ERNIE, KnowBERT, KEPLER, and KAdapter as baselines.
- Results
- Table 1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. LUKE significantly outperforms our primary baseline, RoBERTa, by 2.0 F1 points, and the previous best published model, KnowBERT, by 2.1 F1 points. Furthermore, LUKE achieves a new state of the art by outperforming K-Adapter by 0.7 F1 points.
4.2 Relation Classification
4.3 Named Entity Recognition
- We conduct experiments on the NER task using the standard CoNLL-2003 dataset (Tjong Kim Sang and De Meulder, 2003).
- Following past work, we report the span-level F1.
- Model
- Sohrab and Miwa (2018)에 따르면, 우리는 각 문장에서 entity name candidates로써 모든 가능한 spans을 열거해서 테스크를 해결할 수 있다.
- 그리고 그들을 target entity types 혹은 non-entity type으로 분류하고, 이는 span이 entity가 아님을 가리킨다.
- 데이터세트의 각 문장에서, 우리는 모든 가능한 spans에 해당하는 words와 [MASK] entities을 입력한다.
- 여기서 [MASK] 엔티티들을 예측하는 것
- 각 span의 representation은 span 사이의 first와 last words의 word representations와 span에 해당하는 entity representation을 연결하여 계산된다.
- 우리는 이 representations을 선형 분류기를 사용하여 분류하고 모델을 cross-entropy loss로 학습한다.
- 우리는 계산 효율성을 위해 span이 16개 words가 넘는 것은 배제한다.
- 인퍼런스 동안, 우리는 먼저 non-entity type으로 분류된 모든 spans을 배제한다.
- ovelapping spans을 선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, span이 이미 선택된 것과 겹치지 않는 경우 예측된 엔티티 유형의 logit을 기반으로 나머지 범위에서 탐욕스럽게 span를 선택합니다.
- Following Devlin et al. (2019), we include the maximal document context in the target document.
- Baselines
- LSTM-CRF (Lample et al., 2016)는 CRF (조건부 랜덤 필드)가있는 양방향 LSTM을 기반으로하는 모델입니다.
- Akbik et al. (2018)은 문자 수준의 컨텍스트 표현으로 향상된 CRF와 양방향 LSTM을 사용하여 작업을 다룹니다.
- 마찬가지로 Baevski et al. (2019) 양방향 변압기를 기반으로 한 CWR로 강화 된 CRF와 함께 양방향 LSTM을 사용합니다.
- 또한 ELMo, BERT 및 RoBERTa를 기준선으로 사용합니다.
- RoBERTa와 공정한 비교를 수행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모델을 사용하여 성능을보고하고, 스팬의 첫 번째 단어와 마지막 단어의 표현을 연결하여 계산 된 스팬 표현을 사용합니다.
- Results
-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able 3. LUKE outperforms RoBERTa by 1.9 F1 points. Furthermore, it achieves a new state of the art on this competitive dataset by outperforming the previous state of the art reported in Baevski et al. (2019) by 0.8 F1 points.
4.4 Cloze-style Question Answering
4.5 Extractive Question Answering
5 Analysis
5.1 Effects of Entity Representations
5.2 Effects of Entity-aware Self-attention
5.3 Effects of Extra Pretraining
- 이 논문에서, 우리는 LUKE을 제안한다.
- Transformer을 기반으로 한 단어들과 엔티티들의 새로운 pretrained contextualized representations이다.
- LUKE는 novel entity-aware self-attention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향상된 transformer 구조를 사용하여 words와 entities의 contextualized represenations을 출력한다.
- 실험 결과들은 다양한 entitiy-related tasks에서 효과성을 입증한다.
- 추후 연구는 LUKE을 domain-specific tasks에 적용할 것이다. (biomedical 혹은 legal domains과 같은)
Reference
댓글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