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트레이트

1. 원본 오디오의 데이터율 계산

예를 들어,

  • 샘플링 주파수: 16 kHz = 1초에 16,000 샘플

  • 샘플당 비트 수: 16 bit (보통 PCM 오디오에서 씀)

  • 채널 수: 모노(1채널)라고 가정

👉 원본 비트레이트 =

16,000  (샘플/초)×16  (비트/샘플)×1  (채널)=256,000  bps=256  kbps16,000\;(\text{샘플/초}) \times 16\;(\text{비트/샘플}) \times 1\;(\text{채널}) = 256,000\;bps = 256\;kbps

2. 압축된 오디오의 비트레이트

  • 코덱을 거치면 불필요하거나 사람이 잘 못 듣는 정보를 버려서
    예: 64 kbps로 줄일 수 있음.

  • 이 경우에도 샘플링 주파수는 여전히 16 kHz → 1초에 16,000 샘플을 재생하지만,
    각 샘플을 표현하는 데 쓰는 데이터가 압축되었기 때문에 총 bps가 줄어드는 것.


3. 중요한 포인트

  • **Hz (주파수)**는 시간 축에서 얼마나 자주 샘플링하냐 → “얼마나 세밀하게 측정했나”

  • **bit (비트)**는 각 샘플을 얼마나 정밀하게 기록하냐 → “얼마나 정확하게 저장했나”

  • 두 개를 곱하면 **초당 필요한 데이터 양(bps)**이 나와요.

👉 그래서 bps = Hz × bit (× 채널 수)


즉,

  • Hz는 시간 해상도

  • bit는 값의 정밀도

  • 둘을 곱하면 bps, 즉 데이터량이 되는 거예요.


댓글